책임투자 지원보고서는 기관투자자의 책임투자를 지원하기 위해 발간하는 보고서입니다. 한국ESG기준원은 『의결권행사 지원서비스』와 『책임투자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매년 주주총회 및 책임투자와 관련된 이슈를 발굴하여 시장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 ESG가 기업에게 상당한 재무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인식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ESG 투자의 규모는 급속히 확대되고 있음 ▶ 특히 ESG 투자 전략 중 투자 운용과 관련한 의사결정 전반에 걸쳐 ESG 요소를 반영하는 ESG 통합(Integration)에 대한 기관투자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ESG 통합과 관련한 주요 동향, 정의 및 적용 방안을 살펴봄 ▶ ESG 통합의 적용 방안은 크게 1)운용 프로세스 전반에 ESG 통합 모델의 구축과 2)ESG 요소 통합 기법의 사용으로 구분되며, 해외 기관투자자는 다양한 ESG 통합 전략을 시도하고 있음 ▶ 국내 기관투자자는 ESG 통합 전략의 내실있는 운영을 통해 향후 ESG 펀드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ESG 투자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것이 바람직함
2022.08.26▶ 지난 4년간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에 가입한 자산운용사들의 주주관여 활동에 관한 공시 현황을 점검한 뒤 변화된 부분을 살펴보고, 공시 수준 개선 및 주주관여 효과의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국민연금의 위탁 운용 책임투자 활성화 방안 발표와 스튜어드십 코드 가입기관의 증가로 인해 자산운용사들의 주주관여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분석 결과 아직 공시의 양적, 질적 수준이 모두 저조함에 따라, 자산운용사들의 주주활동 공시 활성화 노력이 요구되는 상황임 ▶ 자산운용사 중 주주관여 주제와 대상, 기업의 대응까지 공시한 사례도 일부 발견되었는데, 스튜어드십 코드에 가입한 자산운용사들은 원칙 준수와 일반 투자자의 정보 비대칭성 해소를 위해 해당 사례들을 참고하여 공시의 빈도와 내용의 수준을 향상해야 함 ▶ 또한, 우수사례를 살펴보면 기업들이 주주관여 주제에 따라 대응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보다 효과적인 주주관여 활동을 위해서 주제별로 주주관여 방식과 형태를 달리할 필요가 있음
2022.07.27□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하 KCGS)은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를 지원할 목적으로, 2022년 1분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한 12월 결산법인 383사의 주주총회 안건을 분석한 의안분석 보고서를 제공함 o 분석대상 기업의 시장별 분포는 유가증권시장 255사, 코스닥시장 124사, 코넥스시장 4사이며, 분석 기준은 「KCGS 의결권 행사 가이드라인」(2021년 1월 개정)을 따름
2022.04.12본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상기 책임투자 관련 보고서 및 자료 일체와 관련한 면책약관에 대해서는 여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2018 KOREA INSTITUTE OF CORPORATE GOVERNANCE AND SUSTAINABILITY
ALL RIGHTS RESERVED